반면 “의미”는 시간이 갈수록 강해진다.
문제는 대부분 우리가 어떤 일을 시작할 때 “의미”를 충분히 정의하지 않은 채 감정으로만 시작한다
-
이 과정을 통해 내가 얻고 싶은 ‘진짜 가치’는 뭔가?”
이 질문을 붙들면, 설렘이 줄어도 “가치”를 위해 계속 나아갈 이유를 찾게 된다.
“재미가 줄었네 → 이제부터 내 뇌가 깊이를 쌓을 차례구나.”
이제 부터 진짜 시작이다.
“싫증이 난 상태에서 버티는 연습”
문제를 만나면 무조건 3번 “왜?”를 적어보기
문제는 곧 훈련이다. 그 다음 레벨로 가기 위한 신호이다.
1. “합리적 경제주체”라는 틀이 나를 조용히 조종하고 있을 때
경제학에서 말하는 “합리적 인간”은 늘 이렇게 행동하지:
“한정된 자원으로 최대의 효용(보상)을 얻으려 한다.”
이 사고방식이 네 사고 깊숙이 들어 있으면, 다음과 같은 흐름이 생겨:
“내 시간과 에너지라는 자원으로 더 큰 보상이 나와야 한다.”
“그런데 지금 하는 일의 보상(경제적, 심리적)이 정체돼 있다.”
“→ 실증이 난다 = 효용이 떨어졌다는 뇌의 판단”
즉, 지금 느끼는 ‘실증’은 단순 감정이 아니라 뇌가 효용 대비 비용을 다시 계산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.
그런 경우라면 질문을 이렇게 바꿔야 한다:
👉 “내가 원하는 효용(보상)은 정확히 무엇이었지?”
👉 “그 효용이 변했거나 커졌는데, 지금 구조가 여전히 그걸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건 아닐까?”
여기서 효용이 꼭 돈일 필요는 없다.
-
의미의 깊이
-
성장감
-
인정
-
자유도
-
이런 것도 ‘보상’이야. 처음엔 재미로 충분했지만, 지금은 “재미 이상”을 뇌가 요구하고 있을 수 있다.
2. “고루함”이라는 건 귀찮음이 아니라 ‘발전의 신호’일 때
반대로, 실증의 본질이 “귀찮음”에서 온 것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.
근데 이건 사실상 발전 욕구가 더 커졌다는 신호인 경우가 많다.
예:
처음엔 새로운 자극 → 뇌가 신선함으로 도파민 방출
반복되면 예측 가능 → 도파민 감소 → ‘귀찮다’고 느껴짐
실제론 더 높은 자극 또는 새로운 차원의 복잡성을 원하고 있는 것
즉, 지금의 나는 “하기 싫은 사람”이라기보다, ‘처음 수준의 과제’에서 이미 벗어났는데도 뇌가 아직 같은 층에서 놀고 있어서 지루함을 느끼는 것일 수 있다.
이건 오히려 “레벨 업해야 한다”는 신호다.
💡 예를 들어
-
단순 반복 업무가 싫어진 건 “더 구조적인 시스템을 짜고 싶다”는 뇌의 신호
- 재미있던 일이 시들해진 건 “그 일의 의미나 다음 단계를 고민하고 싶다”는 신호
3. 그래서 진짜 물어야 할 질문은 “왜 실증이 나는가?”가 아니다
실증이 났다는 건 표면 현상일 뿐이고, 진짜 핵심 질문은 이거:
“지금 내 뇌가 원하는 건 더 큰 보상인가, 아니면 더 높은 차원의 자극인가?”
질문 |
예/아니오 |
이 일을 계속해도 경제적/사회적 보상이 커지지 않는다는 생각이 드는가? |
→ 그렇다면 “효용 재계산” 문제 |
지금의 방식이 너무 반복적이고 단순하게 느껴지는가? |
→ 그렇다면 “발전 신호” |
이 일을 통해 얻고자 했던 본래 가치를 내가 잊고 있는가? |
→ 그렇다면 “동기 재정의” 필요 |
4. 사고 전환의 핵심 포인트
-
✅ “실증 = 실패”가 아니라 “내 동기가 변했다”는 메시지다.
-
✅ 지금의 효용 구조가 변했거나, 뇌가 다음 단계 자극을 원하고 있다.
-
✅ 이걸 의식적으로 재정의하면, 같은 일도 완전히 다르게 보인다.
정리
-
단순히 지루한 게 아니라, 효용 구조 또는 자극 구조가 변했다는 신호다.
-
경제적 보상 문제라면 “효용을 다시 설계”하고,
-
고루함에서 온 것이라면 “난이도나 복잡도를 한 단계 올리는 전략”을 세워라